건축이야기/구조&시공

거푸집 공사와 동바리 시공

중개사이팀장 2025. 3. 21. 15:17

 

거푸집 공사와 동바리 시공

목차

1. 거푸집이란?

거푸집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원하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임시 구조물입니다. 거푸집은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를 정확히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2. 동바리의 역할과 종류

동바리는 거푸집 하부에서 수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까지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합니다.

1) 주요 역할

  • 콘크리트의 자중과 작업 하중을 지반에 전달
  • 슬래브 및 보 하부의 변형 방지
  • 타설 중 진동과 측압에 대한 안정성 확보

2) 동바리의 종류

  • 목재 동바리
  • 강관 동바리 (V1~V6 규격, 층고에 따라 적용)
  • 시스템 동바리 (조립식 구조, 작업성과 안전성 우수)
  • 잭 서포트 (중량물 하중 집중 구간에 사용)
반응형

3. 동바리 설치 기준과 시공 방법

3-1. 동바리 공사 흐름도

동바리 공사는 단순한 지지대 설치가 아니라 구조물의 안전과 공정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다음은 동바리 공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단계 내용 비고
1단계 시공계획 수립
동바리 위치, 간격, 높이 등을 설계도서에 따라 계획 수립
조립도, 구조검토서 포함
2단계 재료 준비 및 검수
강관동바리, 잭서포트, 클램프 등 자재 준비 및 검수
손상 및 비규격 자재 사용 금지
3단계 받침면 정리
지면 평탄화, 침하 방지 고임목 및 받침판 설치
지내력 확보 중요
4단계 수직재 설치
잭베이스 + 수직 동바리 설치, 수직도 확인
2본 이상 연결 금지
5단계 수평재 및 가새 설치
수직재 간격 유지 및 횡방향 보강
3.5m 초과 시 2m 간격 수평재 필수
6단계 장선·멍에 설치
슬래브 및 보 거푸집 지지용 부재 설치
장선 간격 300mm, 멍에 간격 600~900mm
7단계 점검 및 보강
중심선 일치, 기울기, 고정 상태 점검 및 보강
구조물 하중 편심 방지
8단계 콘크리트 타설 및 하중 지지
지지 상태 유지, 진동 및 충격에도 견디도록 고정
필러서포트 2~3층 존치
9단계 해체 및 정리
설정된 해체 강도 도달 후 해체, 자재 정리 및 보관
동바리 손상 여부 확인

이와 같은 체계적인 흐름을 통해 동바리 공사의 안정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1) 설치 기준

  • 동바리 간격: 일반적으로 600~900mm
  • 장선 간격: 300mm 이하
  • 멍에 간격: 600~900mm
  • 층고 4.5m 이상일 경우 시스템 동바리 적용

2) 시공 순서

  1. 받침면 정리 및 고임재 설치
  2. 잭 베이스 설치 → 수직재 조립
  3. 수평재 및 가새 설치로 좌굴 방지
  4. U헤드 및 멍에, 장선 설치
  5. 수직도 및 수평도 확인 후 고정

3) 필러 서포트 계획

슬래브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작업층 기준 하부 2~3개 층은 서포트를 존치합니다.

4. 동바리 시공 시 주의사항

  • 지반이 고르지 않을 경우 침하 방지 고임재 보강
  • 부적절한 자재 사용 금지 (손상, 비규격 자재 등)
  • 동바리 중심선과 멍에 중심이 일치해야 하중이 편심되지 않음
  • 3.5m 이상 설치 시 2m마다 수평재 필수 설치
  • 수직도 불량은 좌굴 및 붕괴 위험 유발

5. 마무리 및 용어 정리

이번 강의에서는 거푸집 공사의 핵심인 동바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동바리는 단순한 지지구조가 아니라 구조 안전을 확보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용어 정리

  • 동바리: 콘크리트 타설 중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
  • 장선: 거푸집 널판을 지지하는 보조 부재
  • 멍에: 장선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부재
  • U-헤드: 장선 위에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대
  • 시스템 동바리: 공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작된 동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