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푸집 공사와 동바리 시공
목차
1. 거푸집이란?
거푸집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원하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임시 구조물입니다. 거푸집은 구조물의 형상과 치수를 정확히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2. 동바리의 역할과 종류
동바리는 거푸집 하부에서 수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까지 하중을 견디는 역할을 합니다.
1) 주요 역할
- 콘크리트의 자중과 작업 하중을 지반에 전달
- 슬래브 및 보 하부의 변형 방지
- 타설 중 진동과 측압에 대한 안정성 확보
2) 동바리의 종류
- 목재 동바리
- 강관 동바리 (V1~V6 규격, 층고에 따라 적용)
- 시스템 동바리 (조립식 구조, 작업성과 안전성 우수)
- 잭 서포트 (중량물 하중 집중 구간에 사용)
반응형
3. 동바리 설치 기준과 시공 방법
3-1. 동바리 공사 흐름도
동바리 공사는 단순한 지지대 설치가 아니라 구조물의 안전과 공정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다음은 동바리 공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단계 | 내용 | 비고 |
---|---|---|
1단계 | 시공계획 수립 동바리 위치, 간격, 높이 등을 설계도서에 따라 계획 수립 |
조립도, 구조검토서 포함 |
2단계 | 재료 준비 및 검수 강관동바리, 잭서포트, 클램프 등 자재 준비 및 검수 |
손상 및 비규격 자재 사용 금지 |
3단계 | 받침면 정리 지면 평탄화, 침하 방지 고임목 및 받침판 설치 |
지내력 확보 중요 |
4단계 | 수직재 설치 잭베이스 + 수직 동바리 설치, 수직도 확인 |
2본 이상 연결 금지 |
5단계 | 수평재 및 가새 설치 수직재 간격 유지 및 횡방향 보강 |
3.5m 초과 시 2m 간격 수평재 필수 |
6단계 | 장선·멍에 설치 슬래브 및 보 거푸집 지지용 부재 설치 |
장선 간격 300mm, 멍에 간격 600~900mm |
7단계 | 점검 및 보강 중심선 일치, 기울기, 고정 상태 점검 및 보강 |
구조물 하중 편심 방지 |
8단계 | 콘크리트 타설 및 하중 지지 지지 상태 유지, 진동 및 충격에도 견디도록 고정 |
필러서포트 2~3층 존치 |
9단계 | 해체 및 정리 설정된 해체 강도 도달 후 해체, 자재 정리 및 보관 |
동바리 손상 여부 확인 |
이와 같은 체계적인 흐름을 통해 동바리 공사의 안정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1) 설치 기준
- 동바리 간격: 일반적으로 600~900mm
- 장선 간격: 300mm 이하
- 멍에 간격: 600~900mm
- 층고 4.5m 이상일 경우 시스템 동바리 적용
2) 시공 순서
- 받침면 정리 및 고임재 설치
- 잭 베이스 설치 → 수직재 조립
- 수평재 및 가새 설치로 좌굴 방지
- U헤드 및 멍에, 장선 설치
- 수직도 및 수평도 확인 후 고정
3) 필러 서포트 계획
슬래브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해 작업층 기준 하부 2~3개 층은 서포트를 존치합니다.
4. 동바리 시공 시 주의사항
- 지반이 고르지 않을 경우 침하 방지 고임재 보강
- 부적절한 자재 사용 금지 (손상, 비규격 자재 등)
- 동바리 중심선과 멍에 중심이 일치해야 하중이 편심되지 않음
- 3.5m 이상 설치 시 2m마다 수평재 필수 설치
- 수직도 불량은 좌굴 및 붕괴 위험 유발
5. 마무리 및 용어 정리
이번 강의에서는 거푸집 공사의 핵심인 동바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동바리는 단순한 지지구조가 아니라 구조 안전을 확보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용어 정리
- 동바리: 콘크리트 타설 중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
- 장선: 거푸집 널판을 지지하는 보조 부재
- 멍에: 장선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부재
- U-헤드: 장선 위에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받침대
- 시스템 동바리: 공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작된 동바리
'건축이야기 > 구조&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 건축 구조의 종류 (0) | 2025.03.24 |
---|---|
기초 공사란 무엇인가? (0) | 2025.03.23 |
옹벽 구조, 종류 (0) | 2025.03.21 |
지정 및 기초공사 종류 , 특징 알아보자 (0) | 2025.03.20 |
블록 및 돌 구조란 무엇인가 (0) | 2025.03.19 |